10월 3일. 개천절 공휴일을 맞아 서울디지털단지(나는 습관적으로 '구로공단'이라고 불렀는데, 요즘은 그렇게 부르지 않는다고 한다. 공식적으로는 '서울디지털단지'로 부르고, 구로디지털단지역과 가산디지털단지역을 중심으로 나뉘기 때문에 줄여서 '구디', '가디'로 부른단다. 예를 들면, "나 지금 가디 쪽에 있어")에 두 번째 방문을 했다. 오늘의 목표는 가리봉동시장과 수출의 다리였다.
가리봉시장은 지하철 7호선 남구로역에서 내려 3번 출구로 나가면 된다. 전날 '디지털구로문화대전(guro.grandculture.net)' 홈페이지를 통해 여러가지 흥미로운 자료들을 접한 후 사전 정보를 얻고 출발했다. 남구로역에 내려 처음으로 눈길을 끈 것은 지하철 시간표였다. 첫 차와 막차 사이의 시간 간격이 채 6시간도 안됐다. 새벽부터 밤 늦은 시간까지 이곳에서 일하며 지하철을 이용하는 사람들을 한 번 떠올려 보았다. 아침 출근길에 쏟아지듯 사람들이 밀려나오는 이곳 지하철 역 풍경을 언젠가 꼭 보아야겠다는 마음이 생겼다. 아래 어제 본 디지털구로문화대전에 나온 동영상 속 저 장면을 직접 보고 싶다.
남구로역에서 나와 길을 내려오면서 내 시선을 끈 곳은 헌 옷과 신발을 파는 곳이었다. 사진을 보면 알 수 있듯 모두 공장 작업복과 안전화들이다. 이곳이 첨단화산업을 육성하기 전 그 유명한 구로공단이었다는 것을 간접적으로나마 확인할 수 있었다. 이제는 IT에 밀려 주인을 잃은 옷과 신발들이 언제 올 지 모를 주인을 기다리고 있다.
가리봉시장에 거의 다달았을 즈음, 이곳이 중국교포들이 밀집한 곳이라는 것을 쉽게 알 수 있는 현수막을 보았다. 이제 가리봉동에는 주민 40%가 화교라 한다. 불법이주민이 아니기 위해 자신의 신분을 증명해 줄 생명과도 같은 신분증은 이곳에서 제공하고 있었다.
신분증을 발급하는 센터 앞에는 흥미로운 현수막이 걸려 있었다. "담배꽁초는 쓰레기통에 버리세요"라는 빨간 색 글씨는 내 눈을 한 눈에 사로잡았다. 도대체 왜 이런 현수막이 걸려 있는지 의아하했지만, 잠시 후 그 이유를 알았다. 근처에 있는 공중휴지통 주변으로 수많은 꽁초들이 버려져 있었다. 그런데, 좀 특이한 것은 그 꽁초들 사이에 돼지 족발 뼈로 보이는 음식물 쓰레기도 함께 버려져 있었다는 점이다. 잠시 후 들린 가리봉시장에는 버려지기 전에 어떤 모습의 음식이었는지 쉽게 알 수 있었다. 한 참을 담배꽁초를 보며 사진을 찍고 있는 나를 지나가는 행인들이 좀 특이하다는 듯 쳐다 보았다. 그들이 내가 신기하듯 나 역시 이 장면을 한참이나 흥미롭게 관찰했다. 아래에 있는 편의점 앞 가산디지털단지내 재떨이와는 사뭇 다르다.
가리봉시장은 거의 모든 상가 간판이 중국어로 쓰여져 있다. 정말 이곳이 한국인지 중국인지 순간 혼돈될 정도였다.
시장 골목을 안 쪽에 들어가니 고물상이 있었다. '파지'는 110원, '옷'은 450원, '물랭이'는 200원이었다. 고물상 앞에는 광고전단지 두 개가 붙어 있었다. '선원모집', '간병인 모집'. 중국교포를 특별우대한다는 선원모집 광고가 눈길을 끈다. 이곳에 모여 사는 분들이 어떤 분들인지, 또 어떤 일들을 할 수 밖에 없는지 간접적으로 알 수 있었다. 아래에서 볼 가산디지털단지에서 본 광고물과 전혀 다르다.
고물상을 지나고 있을 때 비행기 소음이 들여 하늘을 보니 정말 비행기가 날아 가고 있었다. 사실 기분이 묘했다. 이 허름한 시장 골목 안 풍경과 거미줄 같은 전선줄 사이로 비행기가 지나가는 모습은 많은 생각을 하게 만들었다.
조금 걷다보니 전파상 같은 가게가 있었다. 앞에 전시한 물품들이 고물인지, 전시품인지 도저히 가늠이 안될 정도로 먼지가 쌓여 있었다. 먼지가 쌓인지 너무 오래돼 보이는 리모콘을 보며 이 골목의 과거와 현재를 돌이켜 볼 수 있었다. 쌓인 먼지만큼, 그 먼지에 무심해진 가게 주인의 무력함만큼 이곳 가리봉시장은 과거의 영광에서 많이 멀어져 있는 듯 보였다.
골목 안에서 재미있는 걸 발견했다. 담배광고판이었는데, 그 밑에 콜센타 전화번호까지 적혀 있었다. 나중에 적혀 있는 홈페이지에도 들어가 보았는데, '한국담배 판매인회 중앙회' 홈페이지였다. 이곳 콜센타에서 근무하는 직원들은 흡연율이 어떻게 될까 갑자기 궁금해졌다.
지나가는 길에 또 다시 담배 경고문을 보았다. "담배 꽁초 버리다 단속원에 걸리면, 벌금 삼 만원 징수됨"이라고 쓰여 있었다. 그 위에는 경찰서에서 붙인 안내문이 있었다. 술에 취해 행패를 부리는 사람들에 대한 처벌에 대한 변경 사항을 알려주는 안내문이었는데 중국어로도 쓰여져 있었다. 이 가게는, 적어도 내 생각에는, 중국식 빠찡꼬 가게였다.
가리봉시장 나오는 길에 있는 여성안심귀갓길 안내문. 스마트폰을 이용한 최신식 방법.
꽃게잡이 선원을 구하는 전단지와 카드게임 PC방 전단지가 묘한 대비를 이룬다.
가리봉시장을 나와 가산디지털단지로 향하는 길에 있는 약국과 그 앞 공중휴지통. 금연초 광고와 주변이 깨끗한 휴지통. 가리봉시장에서 본 풍경과 사뭇 다르다.
디지털단지오거리는 가리봉시장과 가산디지털단지를 완전히 가르는 기준점이다. 이곳을 지나면 세상은 완전히 달라진다. 골프웨어 할인행사를 하는 상점 앞 커다란 스피커에서 나오는 아이돌 그룹의 댄스음악은 과거의 기억에 빠져 있던 나를 깨웠다.
이곳은 일단 거대한 패션몰의 집합소였다. 공휴일이어서 많은 사람들이 거리를 메웠다. 그리고 한 아울렛 앞에서는 부당해고에 맞서 항의하는 노조원들의 외침도 있었다. 복잡한 심경이 들었다.
아울렛 앞 버스정류장에 붙은 금연버스정류소 안내문.
드디어 보이는 '수출의 다리'
디지털단지내 건물에서 본 '담배 판매' 광고문. 가리봉시장의 전통적 광고판과 달리 저 높은 빌딩 유리창에 붙어 있다.
수출의 다리 밑 풍경. 뜻을 알 수 없는 조형물이 놓여 있었다.
수출의 다리 위에 올라 거닐며 찍은 사진. 서울을 'Soul of Asia'로 소개한 다리 위 문구가 인상적이다.
다리 위를 걸어 가니 노래방 광고 전단물이 보인다. 전화만 주면 즉시 모시러 오는 노래방. 가리봉시장과 다른 세상이다.
수출의 다리를 지나 내려오면 금천구에서 운영하는 가산문화센터와 청소년 쉼터가 나온다.
청소년쉼터에 붙어 있는 누리/한별단/아람단 홍보물. '효로 넘처나는 청소년'이라는 문구가 많은 생각을 하게 만든다. 모델은 아이돌 그룹. 청소년 쉼터에 온 가출 청소년들에게 홍보하는 것일까?
가리봉시장에서 본 전단지와 달리 이곳에는 회생/파산에 대한 상담, 각종 문제들에 대한 종교적 치유법 광고, 신축 고시텔 광고 등이 붙어 있었다. 전단지만 보아도 많은 것을 생각할 수 있었다.
소위 '가디'라 불리는 곳에 진입하니, 거대한 공장형 아파트식 사업장이 즐비했다. 그 앞으로는 친환경 전기자전거가 전시되어 있었다. 흥미로운 건 이 건물 한 켠에 있는 편의점 휴지통이었다. 특히, 휴지통 위에 놓인 뚝배기 재떨이는 이곳에서 흡연자들이 놓인 위치를 조금은 알 수 있을 것 같았다. 향후 좀 더 깊이 알아봐야겠다.
댓글 없음:
댓글 쓰기